스마트폰 하나로 건강 정보도 쉽게 찾을 수 있는 시대입니다
요즘, 건강정보 어디서 찾으시나요?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전에는 건강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기면 병원에 직접 가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건강 정보를 스스로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특히 어르신에게는 혈압, 당뇨, 관절염 같은 만성질환에 대한 정보나 복용 중인 약에 대한 설명, 또는 운동과 식단 관련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그럼에도 많은 어르신은 “검색이 어렵다”, “어디에 써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이유로 이 편리한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터넷 검색이 처음인 어르신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검색 앱을 여는 방법부터 건강 관련 키워드를 입력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전 과정을 차근차근 안내합니다.
인터넷 검색은 이렇게 시작하세요
스마트폰에는 기본적으로 인터넷 앱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갤럭시는 ‘삼성 인터넷’, 아이폰은 ‘Safari(사파리)’, 그리고 많은 분들이 ‘크롬’(Chrome)을 쓰기도 합니다.
인터넷 검색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또는 ‘크롬’ 아이콘을 터치해 앱을 엽니다.
- 화면 상단에 있는 길게 뻗은 칸(검색창)을 터치합니다.
- 입력창이 뜨면 ‘건강검진 시기’, ‘고혈압에 좋은 음식’, ‘어르신 스트레칭 운동’ 등 알고 싶은 말을 그대로 적습니다.
- ‘돋보기 모양’ 아이콘을 누르거나, 키보드의 ‘검색’ 버튼을 누르면 검색 결과가 나옵니다.
-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하면 여러 사이트가 나열되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결과를 먼저 확인해보세요.
※ 검색어를 짧고 정확하게 입력하면 더 좋은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뇨에 좋은 음식’이라고 입력하면 관련된 목록, 식단, 전문가 의견까지 나옵니다.
건강 정보를 정확하게 찾는 요령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하다 보면 너무 많은 정보가 나와서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특히 건강 관련 정보는 정확하고 믿을 수 있는 곳에서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어르신이 안심하고 참고할 수 있는 정보 찾기 팁입니다:
- 국가나 병원, 공공기관 사이트 우선 보기
검색 결과 중 ‘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청’, ‘서울대병원’, ‘보건복지부’ 같은 기관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는 정보의 신뢰도가 높습니다.
주소가 “.go.kr”, “.or.kr”, “.ac.kr”로 끝나는 사이트는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너무 자극적인 제목은 피하기
예: “이 음식만 먹으면 당뇨 완치!”, “하루 3분이면 관절염 끝!” 같은 과장된 문구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히려 중립적이고 설명이 자세한 글이 더 믿을 수 있습니다.
- 검색어에 구체적인 조건을 더하기
- 단순히 ‘당뇨’보다는 ‘70대 당뇨 운동 방법’,
- ‘관절염’보다는 ‘무릎 관절에 좋은 운동 영상’
처럼 검색어를 구체화하면 내가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영상 검색 활용하기
글보다 영상이 더 편한 어르신은 유튜브 검색 결과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영상에서 설명하는 건강 운동이나 식단 정보는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따라 하기도 좋습니다.
인터넷 검색이 익숙해지면 생활이 훨씬 편해집니다
처음엔 검색창에 글자를 입력하는 것도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세 번만 반복해 보면 검색은 가장 쉽고 강력한 스마트폰 활용법이 됩니다.
예를 들어 ‘오늘 날씨’, ‘가까운 병원’, ‘고혈압 약 부작용’, ‘요양병원 입원 절차’, ‘관절에 좋은 음식’ 등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정보를 병원에 가지 않고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에게 묻지 않고 스스로 정보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은 어르신의 자존감과 스마트폰 사용 자신감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필요하다면 자녀나 가족과 함께 자주 검색해보고, 자주 쓰는 검색어를 메모지에 적어두거나 즐겨찾기 기능으로 저장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스마트폰은 어르신을 위한 정보창고입니다. 인터넷 검색은 그 문을 여는 가장 쉬운 열쇠입니다.
건강은 ‘정보를 아는 것’에서 시작되며, 스마트폰으로 배우는 검색은 그 첫걸음이 되어줄 것입니다.
'어르신 스마트폰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으로 가까운 병원·약국 찾는 방법 – 지도 앱 활용법 (0) | 2025.07.04 |
---|---|
휴대폰 번호 저장과 삭제 방법 – 주소록 기본 사용법 (0) | 2025.07.01 |
스마트폰 보안 설정 : 어르신을 위한 비밀번호 설정과 지문 인식 방법 (0) | 2025.07.01 |
사진을 카카오톡으로 보내는 방법 : 어르신도 따라만 하세요! (0) | 2025.06.30 |
전화가 안 들릴 때 : 스마트폰 벨소리 및 수신음 키우는 설정법 (0) | 2025.06.30 |